맞춤법91 새삼의 알쏭달쏭 맞춤법 - 개기다? 개개다? 안녕하세요 실천왕 새삼입니다. 오늘은 ‘개기다’의 올바른 표현인 ‘개개다’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흔히 일상 생활에서 ‘개개다’를 ’개기다‘로 잘못 쓰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는 언제나 형한테 개긴다‘ 와 같은 표현은 사실 ’그는 언제나 형한테 개갠다‘ 라고 써야 올바른 표현입니다. ’개개다’의 의미 다른 사람에게 성가시게 달라붙어 손해을 끼치다. 무엇에 자꾸 맞닿아 그 마찰로 표면이 닳거나 해어지다. 실제로는 아랫사람이 윗사람의 말을 듣지 않고 벋대는 경우 많이 쓰이곤 합니다. 예) 나한테 개개면 죽는다. 쟤는 툭하면 선생님한테 개갠다.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2023. 3. 2. 새삼의 알쏭달쏭 맞춤법 - 가짢아서? 같잖아서? 안녕하세요 실천왕 새삼입니다. 오늘은 '가짢다'와 '같잖다' 중 올바른 표현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할게요. ‘하는 짓이나 꼴이 제격에 맞지 않고 눈꼴사납다’ 또는 ‘말하거나 생각할 거리도 못 되다’의 뜻을 나타낼 때 쓰는 ‘가짢다’는 ‘같잖다’를 잘못 쓴 표현입니다. 그러므로 '같잖다'는 ‘같잖아서’ ‘같잖은’ ‘같잖게’ 등으로 활용하며 부사로는 ‘같잖이’가 있습니다 예) 나를 같잖이 여기는 사람이다. 같잖아서 말도 안 나온다.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돠 댓글 부탁드립니다! 2023. 2. 25. 새삼의 알쏭달쏭 맞춤법 - 갖었다? 가졌다? 안녕하세요 실천왕 새삼입니다. 오늘은 '갖었다'와 '가졌다' 중 올바른 표현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할게요. 우선, 갖었다의 현재 표현인 '갖다'는 '가지다'의 준말입니다. 일상 속에서 흔히 '긴 휴식기를 갖은 배우' '흥미를 갖으니 이제야 보인다' '급하게 업무 회의를 갖었다' 등은 모두 '갖다'를 잘못 활용한 사례입니다. '가지다'는 '가진' '가지고' '가졌다' 등 어미를 바로 연결하여 활용하지만, 준말인 '갖다'는 그렇지 못하죠. 그러므로 '갖은'이 아니라 '가진', '갖었다'가 아니라 '가졌다', '갖으니'가 아니라 '가지니'로 써야 올바른 표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2023. 2. 19. 새삼의 알쏭달쏭 맞춤법 - 강금? 감금? 안녕하세요 실천왕 새삼입니다. 오늘은 강금과 감금 중 올바른 표현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할게요. 강요하다, 강제로 하다와 같은 표현에서 '강'을 많이 사용해서 그런지 강금으로 쓰는 경우가 있는데요. 감옥과 같이 일정한 공간에 가두거나 갇히는 것은 '감금'이라고 합니다. 때문에 '감금'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예) *이 사건은 감금 및 폭행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2023. 2. 10.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다음 728x90 반응형